Dongguk University
불교사회복지론 | Buddhist Social Welfare | |
---|---|---|
불교경전에 나타난 불교사회복지의 사상과 실천이론을 학습하고, 부처님의 복지실천모델을 통해 현대사회가 요구하는 불교사회복지사로서의 자질과 역량을 신장하도록 교육하며, 나아가 불교를 전법하는 복지포교사 배출에 목적을 둔다. | ||
노인복지론 | Social Services for the Elderly | |
노인복지 활동에 필요한 개괄적인 지식을 제공하기 위해 노화에 따른 개인의 신체적 심리적 및 사회적요인의 변화와 노인문제를 이해하고 이에 근거한 노인복지 정책프로그램과 실천기술을 개괄적으로 연구한다. | ||
장애인복지론 | Social Services for the Handicapped | |
장애인복지를 이해하기 위해서 장애에 접근하는 시각을 포함한 가치와 이념에 대한 이해, 장애문제이해, 사회인을 위한 서비스 정책과 제도 등을 포괄적으로 다루어 장애인문제와 장애인복지에 관한 제반이론과 실천영역의 현황과 과제를 이해하고 학습한다. | ||
여성복지론 | Social Welfare for Women | |
여성과 여성문제에 대한 기초적 이해를 바탕으로 여성복지에 대한 체계적, 통합적 이해와 사고를 기를 수 있도록 하는 과목이며 여성복지의 다양한 실천 방법적 접근과 사회복지 정책적 차원에서의 방법론을 모색한다. | ||
사회복지실천론 | Theories of Social Work Practice | |
사회복지실천 전반에 대한 기초 지식과 개인과 가족, 집단을 대상으로 한 사회복지 실천모델에 관한 기초지식을 통합적인 시각에서 살펴본다. 즉, 사회복지 실천의 기초 철학과 가치, 통합적 시각, 사회복지실천 관계론 및 과정론, 사회복지실천 대상별 실천모델, 사례관리 등을 검토한다. | ||
인간행동과 사회환경 | Human Behavior and the Social Environment | |
인간행동과 사회 환경의 다양한 요소와 이들의 상호작용에 관한 지식을 체계론 적으로 이해하기 위하여 개인 ‧ 가족 ‧ 집단 ‧ 조직 ‧ 사회를 설명하는 제반 이론과 인간의 성장과 발달과정을 이해하기 위해 필요한 기초지식을 학습한다. | ||
사회복지정책론 | Social Welfare Policy | |
사회복지정책의 개념을 정립하고, 사회복지정책의 결과인 복지국가에 대해 이해하며, 사회복지정책의 과정, 내용, 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준거 틀을 알아보고 그 틀에 의거해 현행 한국 사회복지정책과 그 문제점들을 분석해 보도록 한다. | ||
가족복지론 | Social Work in Health Care | |
현대사회에서 여러 가지 사회적 여건을 따라 변화하는 가족을 이해하기 위하여 가족구조, 가족관계, 가족의 기능, 가족의 생활주기, 가족문제 등에 관해 적용하고 가족복지 정책과 서비스현황 등에 관하여 고찰한다. | ||
사회복지개론 | Introduction to Sociology | |
사회적 대상과 방법, 인성과 문화, 사회집단조직, 계층, 사회변동 등에 관한 개괄적 원리를 배움으로써 사회를 분석적으로 보는 안목을 키운다. | ||
지역사회복지론 | Community Welfare | |
지역사회를 대상으로 하는 사회복지실천방법으로서 지역사회 원조기술의 이론과 방법을 습득하고 나아가 지역사회복지의 다양한 실천분야를 이해함으로써 지역사회복지실천을 위한 전문사회복지사로서의 능력을 배양하고 향상시킨다. | ||
사회복지법제 | Social Welfare and Law | |
사회복지법의 기본시각으로서 사회복지법의 개념, 생존권, 사회복지의 가치와 목적 및 일반 원리를 고찰하고, 한국 사회복지법의 분야별 내용들을 학습하여 사회복지 프로그램이 어떠한 법제 아래서 수행되어지는가를 이해함으로서 사회복지실천에서 법 내용을 응용하는 능력을 향상시킨다./td> | ||
사회복지조사론 | Research Methods for Social Welfare | |
과학적 방법으로서 사회복지조사의 기본적인 개념들과 기초이론들을 배우는 데 중점을 두며, 실무에서의 총체적 응용을 목표로 하는 것을 감안하여 가상프로젝트를 통해서 조사연습을 실시하도록 하고 조사계획서 및 보고서 작성요령까지 학습하도록 한다. | ||
사회복지현장실습 | Social Welfare Field practice | |
학교에서 습득한 사회복지에 관한 지식과 기술을 실무현장에서 적용하고, 사회복지 시설 및 기관의 기능 및 운영에 대한 경험적 이해를 증진시키며, 예비사회복지사로서의 자질과 능력을 향상시키고, 사회복지 실천에 대한 자신의 적성 테스트 기회를 제공하여 준다. | ||
사회복지학특강 | Social welfare seminar | |
사회복지분야의 새로운 이론,제도,실천과 관련된 주요쟁점 및 현안의 복지문제를 선택하여 세미나 형식으로 강의를 진행하여 학습한다. | ||
사회복지행정론 | Social Welfare Administration | |
공적 및 민간 차원의 사회복지 정책을 사회복지 서비스로 전환하는 사회복지조직과 이들의 연계체계인 사회복지 전달체계를 이해하고 사회복지 조직의 요원으로서 사회복지조직을 관리, 운영하는 데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. | ||
아동복지론 | Child Welfare | |
아동복지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는 이론적 배경과 실천방법을 학습하여 아동복지 분야에서 활동할 사회복지사의 능력을 배양하기 위하여 아동복지의 개념과 가치에 대한 아동복지의 역사, 정책과 제도 실천대상과 관련 서비스 실천방법과 기술 등의 이해를 도모한다. | ||
사회복지실천기술론 | Skills and Techniques for Social Work Practice | |
개인과 가족 집단의 사회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회복지사가 숙지해야 하는 다양한 실천기술, 기법지침 등에 초점을 맞추어 사례연구와 역할연습을 통해 실천기술, 기법, 지침을 실천대상에게 적용하며 실제에 개입하고 평가하는 연습을 한다. | ||
사회문제론 | Social Problems | |
사회적인 문제들은 어떠한 것이 있으며, 사회적인 현상을 이론적으로 어떠한 관점을 가지고 어떻게 이해할 수 있는지 살펴보기 위하여 사회문제의 개념을 살펴보고, 사회문제들을 이해한다. | ||
청소년복지론 | Youth Welfare | |
개인과 청소년을 둘러싼 가족, 학교, 사회환경과 문화라는 복합적인 체계의 관점에서 청소년의 성장과 발달을 이해하고, 청소년 복지에 대한 기본적 시각을 학습하여 청소년 복지를 실천하는 사회복지사로서의 자세와 실천적 접근 지식을 갖추도록 한다. | ||
불교사회사업론 | Theory of social service on buddhism | |
불교의 자비사상에 입각한 불교사회사업의 역사적 사실을 경전을 통해 고찰, 학습하고 사찰과 지역사회의 불교적 사회사업의 관계를 재조명 하고자 한다. | ||
자원봉사론 | Volunteerism | |
사회복지 분야에서 직면하게 되는 인력관리와 관련되는 자원봉사자 및 직원들의 효과적인 훈련, 교육, 관리 등에 관한 이론적 지식 및 방법들을 습득하게 하고, 관련된 문제를 제시하여 효과적인 대처방안을 모색해 보도록 유도함으로써 학생들로 하여금 사회복지기관의 유능한 관리자로서의 자질을 갖추도록 한다. | ||
정신건강론 | Social Work in Mental Health | |
정신보건영역에 있어 사회복지사들의 다양한 접근과 개입을 살펴보기 위하여 정신보건사회복지의 역사와 정신장애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정신장애의 증상과 사정개입을 위한 지식과 기술, 치료 및 재활을 위한 사회복지실천개입의 다양한 접근방법을 익힌다. |
(04620) 서울특별시 중구 필동로 1길 30 동국대학교 불교대학원 (법학관 1층 166호 불교대학(원) 학사운영실) Tel : 02-2260-3096 Fax : 02-2260-8627
COPYRIGHT(C) DONGGUK UNIVERSITY